| |||||||||
2. 도시 위에 떠 있는 섬 ‘서울 성곽길’ | |||||||||
서울 도심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4대문을 따라 동그랗게 나 있는 서울 성곽. 산책로가 잘 정비된 이곳은 서울 중심가에 있는 길답지 않게 시골 냄새가 풀풀 풍기는 정겨운 곳이다. 시멘트를 바르지 않은 흙길을 걷는 느낌도 좋지만, 웬만한 산꼭대기보다 멋진 전망을 볼 수 있다는 것이 특히 매력적이다. 가장 아름다운 산책로는 곡장에서 백악마루로 이어지는 곳. 아무렇게나 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돌무더기들이 마침내 길고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는 곳이 바로 여기 백악산 성곽이다. 성곽의 곡선을 유심히 살펴보면 용이 옥구슬을 머금고 하늘로 올라가는 형상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데, 이 중 용머리 부분이 백악산이고, 아랫부분이 청와대다. 번화가에서 불과 20분 거리에 있지만, 너무나도 평온하고 운치 있는 풍경이라 언뜻 ‘도시 위에 떠 있는 섬’을 일주한 것 같은 느낌이다. Info 문의 말바위안내소(02-765-0297~8) 찾아가는 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초록버스 종로02번 탑승해 종점(성균관대 후문) 하차→도보 3분,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초록버스 종로08번 탑승해 종점(명륜3가) 하차→도보 5분 추천 코스 말바위안내소(와룡공원)→숙정문→곡장→청운대→백악마루(정상)→창의문(총 4.3km) 소요시간 약 2시간 난이도 ★☆☆ 개방시간 오전 10시~오후 3시(매주 월요일 휴무, 신분증 지참 필수) | |||||||||
3. 롤러코스터 같은 숲 속 산책로 ‘북악하늘길’ | |||||||||
사실 북악산 산책로는 1968년 무장간첩 침투 사건 후 폐쇄돼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다. 그러다 지난해 북악하늘길 1산책로와 ‘김신조 루트’라 불리는 2산책로가 개방됐다. 올 2월에는 군인들의 순찰로인 6백40m 길이의 북악하늘길 3산책로가 개방되면서 그동안 ‘금단의 땅’이던 북악산 일대가 42년 만에 완전히 열린 셈이 됐다. 산책로 전체 길이는 길지 않지만 마치 롤러코스터를 연상시키는 숲 속 산책로가 아기자기한 맛을 낸다. 중간 중간에 내려다보이는 북악하늘길 도로가 탐방로와 묘한 조화를 이루고, 남산, 청계산, 관악산뿐만 아니라 평창동, 북악하늘길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모습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서울의 ‘비무장지대’라 불릴 정도로 숲이 잘 보존된 것도 특징. 커다란 바위(호경암)에 남아 있는 총탄 흔적도 볼거리다. Info 문의 성북구청 공원녹지과(02-920-3395) 찾아가는 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성북구민회관에서 우회전→삼선감리교회 앞에서 길 건너 우회전→1번 마을버스 종점에서 길 건너 나무 계단 위로 도보 5분 추천 코스 하늘한마당→북악스카이웨이 산책로→하늘다리→김신조 루트-숙정문안내소→성곽아랫길→삼청공원→북촌한옥마을→안국(총 9km) 소요시간 약 3시간 30분 난이도 ★★☆ | |||||||||
4. 정돈된 길 따라 야생화 가득 ‘성동 올레길’ | |||||||||
서울숲에서 응봉산, 대현산, 금호산, 매봉산 등을 넘어 남산까지 가는 코스다. 산을 4개나 넘어야 하지만 지레 겁먹지 않아도 된다. 금호산이나 매봉산 모두 야트막하다. 또 산책로가 잘 정돈돼 있어 길을 잃을 걱정이 없고, 이름 모를 야생화가 가득해 걷는 내내 눈이 즐겁다. 시시각각 변하는 한강과 도심 경관도 지금까지 서울에서 흔히 볼 수 없던 장관이다. 호당공원과 독서당공원을 지나 트레킹의 고비인 응봉산만 넘고 나면 중랑천을 끼고 마지막 목적지인 서울숲으로 이어지는 평이한 코스가 나타난다. Info 문의 성동구청 공원녹지과(02-2286-5656) 찾아가는 길 지하철 2호선 뚝섬역 8번 출구→도보 15분→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4번 출구→410번, 2014번 시내버스 환승 후 두 번째 정거장에서 하차 추천 코스 뚝섬 서울숲→응봉산→독서당공원→호당공원→금호산→매봉산→남산 (총 8km) 소요시간 약 3시간 난이도 ★☆☆ | |||||||||
5. 마음도 맑아지는 푹신한 흙길 ‘강동그린웨이 | |||||||||
강동그린웨이는 일자산 입구에서 인근 허브천문공원까지를 말하는데 ‘걷기 좋은 코스’로 인증을 받은 길이다. 일자산은 가장 높은 곳이 1백55m로 야트막해 부담 없이 오를 수 있으며, 그린웨이 구간의 백미인 허브천문공원에서는 카모마일, 라벤더, 재스민 등 익숙한 허브부터 아일랜드포피, 락스퍼 등 이름이 낯선 허브까지 1백20여 종의 허브를 구경할 수 있다. 공원 북쪽에는 자작나무 숲이 어우러져 있고, 정동쪽과 서쪽에는 햇빛과 달빛을 맞을 수 있는 관천대도 자리 잡고 있다. 발길이 닿는 바닥에는 별자리 조명 2백82개가 알알이 박혀 있어 어느 한구석도 눈을 뗄 수 없다. Info 문의 강동구청 녹색기획팀(02-480-1395) 찾아가는 길 지하철 5호선 명일역 3번 출구로 나와 오른쪽 방향→첫 사거리에서 건널목 건너 직진→암사아리수정수장 사거리→길 건너 고덕산 진입 추천 코스 고덕산→샘터공원→방죽공원→명일공원→일자산공원→방이동생태경관보전지역→성내천→오금공원(총 16km) 소요시간 약 5시간 난이도 ★☆☆ | |||||||||
6.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숲길 ‘고양누리길’ | |||||||||
최근 조성된 ‘고양누리길’은 기존 산책로와 등산로를 그대로 살리고 주변 관광 명소를 연계해, 걸으면서 건강도 챙기고 고양시의 다양한 숨은 매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누리길이라는 명칭은 고양시 전 지역을 누린다는 의미. 서삼릉 누리길, 행주 누리길, 송강 누리길, 고양동 누리길, 고봉 누리길 등 5개 코스가 있지만, ‘고양올레길 만드는 사람들’이라는 온라인 카페에서 개발한 코스도 눈길을 끈다. 특히 ‘아마존길’ 코스는 아마존이라는 말에서도 느껴지듯 도심에서 약간 벗어났을 뿐인데 깊은 산중에 들어온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공양왕릉을 비롯한 역사 유적이 즐비해 볼거리가 많고, 백로가 노니는 논두렁길, 동구 밖 길 등을 지나가는 것이 유쾌하다. 교통이 좀 불편하지만 30분만 더 투자하면 뜻하지 않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Info 문의 고양환경운동연합(031-721-7001) 찾아가는 길 지하철 3호선 원당역 2번 출구→일반·좌석버스 7733, 567, 9703번, 마을버스 97, 98, 99번 이용 추천 코스 식사오거리 일산종합철강(오일뱅크 건너편)→능선길→논길→대궐약수→탄약대대→이량묘→공양왕릉→능선길→원흥동 원당헌뼈해장국 앞(주주동물원 근처)(총 7km) 소요시간 약 3시간 난이도 ★★☆ | |||||||||
7. 노을과 역사를 벗 삼아 걷는 ‘강화나들길’ | |||||||||
한반도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강화도는 단군왕검 신화 등 굵직한 역사가 새겨진 섬이다. 아름다운 자연을 따라, 역사를 따라 걷는 강화 나들길은 모두 4개 코스가 이어져 있다. 심도역사문화길, 호국돈대길, 능묘 가는 길, 해 지는 마을길은 총 57.5km에 달한다. 이곳만 둘러보아도 강화도를 알차게 둘러보는 셈. 강화역사관에서 광성보를 거쳐 초지진으로 이어지는 길은 왼편으로 갯벌이 펼쳐지고 구간별로 전망대가 마련돼 있어 경치를 조망하기에 좋다. 서해안 낙조를 감상하고 싶다면 ‘해 지는 마을길’을 추천한다. 하우약수터에서 잠시 쉬다가 금빛으로 부서지는 바다를 따라 해안길을 걸으면 걷는 사람이 곧 그림이 된다. 외포에 있는 새우젓시장과 망양돈대의 석양은 꼭 볼 것을 권한다. Info 문의 강화군청 문화관광과(032-930-3220) 찾아가는 길 승용차-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 김포나들목(48번 국도·강화 방면)→강화대교→강화읍→가릉주차장, 대중교통-서울 신촌로터리 부근에 있는 신촌시외버스터미널(02-324-0611)에서 강화행 시외버스가 10여 분 간격으로 출발(05:40~23:20), 강화터미널까지 약 1시간 10분 소요 추천 코스 해 지는 마을길(가릉→능내동길→정제두 묘→하우약수터→이건창 묘→건평나루→건평쉼터→건평돈대→청포동길→새우젓시장→망양돈대(총 10km) 소요시간 약 4시간 난이도 ★★☆ | |||||||||
8.천년의 흔적을 따라 걷다 ‘남한산성 둘레길’ | |||||||||
해발 4백98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산허리에 병풍을 두르듯, 산세와 능선 굴곡을 따라 30리를 돌로 쌓아올린 남한산성. 일주는 보통 남문이나 관리사무소에서 시작하는데 오른쪽, 왼쪽 어느 방향으로 돌아도 상관없으니 마음 내키는 대로 또 발길 가는 대로 걸으면 된다. 수어장대가 있는 곳은 남한산성에서 가장 높은데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하여 일장산(日長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문을 지나 북문에 이르는 길은 소나무 숲이 우거져 늘씬한 노송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이만한 노송군락은 이곳이 거의 유일하다고. 고색창연한 산성의 느낌도 웅대하지만 성 안을 빽빽하게 메우고 있는 노송들과 단풍나무들이 주는 훌륭하고 멋스러운 경치 또한 볼거리다. Info 문의 남한산성도립공원(031-743-6610) 찾아가는 길 지하철 8호선 남한산성역 1번 출구 방향→약 1.5km 도보 추천 코스 5코스(관리사무소→동문→동장대터→북문→서문→수어장대→영춘정→남문→동문, 총 7.7km) 소요시간 약 3시간 30분 난이도 ★★☆ | |||||||||
| |||||||||
|
'☞취미생활그룹 > ▶여행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심 속 걷고 싶은 가을 길 (0) | 2011.09.08 |
---|---|
대한민국 자전거 여행 지도 (0) | 2011.09.07 |
가족과 함께 떠나는 슬로시티 증도 여행 (0) | 2011.09.07 |
우리나라에서 가장 걷기 좋은 길 (0) | 2011.09.07 |
한국관광공사가 추천한 올 여름 여행지 (0) | 2011.09.07 |